본문 바로가기
호주에서 박사로 살아남기

[호주 박사] 3. 호주 박사 지원 과정 - SOP 작성하기 (예시 및 참고자료)

by muuty 2025. 1. 19.

여러분이 호주에서 박사 과정을 하기로 결심했다면, 어떤 연구실에 지원할지 결정해야합니다.

 

어떻게 보면 회사에 지원해서 뽑히는 것과 비슷합니다. 회사가 어떤 포지션을 채용중인지, 어떤 역량을 가진 사람을 채용하고 싶을지, 나는 어떤 사람인지를 잘 분석해서 합격 확률을 높혀야합니다. 연구실도 비슷합니다. 이 연구실에서는 어떤 역량을 가진 사람을 채용하고 싶을지를 잘 고려해서 내 경험과 역량을 보여줘야 합니다. 특히, "나는 너희 연구실에 들어가서 이런 연구를 당장 시작할 수 있는 역량/열정이 있다"는 느낌이면 좋습니다.

 

박사 지원 과정에는 크게 SOP, CV가 필요합니다. 저도 메일을 쓸 때 SOP, CV만 제출했네요. 우선 SOP부터 살펴보겠습니다.

 

SOP(Statement of Purpose)

가장 중요하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GPA/영어 성적이 아무리 좋더라도 SOP가 좋지 않다면 떨어지는 경우가 있는 것 같습니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내가 왜 이 과정에 지원하는가?"를 에세이처럼 줄글로 써서 내는 것입니다. 나는 어떤 사람인지, 어떤 학과를 전공했고 거기서 어떤 경험을 쌓았으며 그 경험이 대학원 진학 결정으로 어떻게 이어졌는지 등등.. 일반적인 자기소개서와도 비슷하지만 특히 연구와 관련된 일관성 있는 스토리를 보여줘야한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1. 나는 어떤 사람인가

연구 분야와 관련된 나의 스토리를 적으면 됩니다. 크게 아래 3 가지에 집중하면 됩니다.

  • Previous Degrees: 학사, 석사 전공
  • Research Experience: 학부 연구참여, 석사 연구, 산학연구프로젝트 등 연구와 관련된 경험
  • Professional Experience: 인턴십이나 근무 경험 등 일을 했던 경험

연구실에서는 연구를 수행할 사람을 뽑고 있는 것이므로, 연구 역량과 관련된 일관성 있는 스토리를 적는 것이 좋습니다.

1. 출판된 논문이 있다면 가장 좋습니다. 관련된 이야기를 쓰시면 됩니다.

2. 출판된 논문이 없다면 산학프로젝트, 연구참여, 공모전 등 몰입과 연구가 필요했던 의미있는 경험을 중심으로 역량을 어필하는 게 좋습니다.

3. 2번에 해당하는 것도 없다면 특정 과목을 배우면서 특히 재미있게 느꼈던 부분 등을 적을 수 있겠습니다.

 

다른 SOP 관련 글 볼 때 예시가 없어서 아쉬운 적이 한번씩 있었어서, 간단하게 예시를 적어보겠습니다. ChatGPT가 작성한 것이기 때문에 구체적인 방법론이나 키워드는 말이 안 될 수 있습니다. 대략적인 흐름만 파악하신다고 생각하시고, 인터넷에는 더 좋은 SOP가 많이 있기 때문에 검색해보시기 바랍니다. 

 

저는 학부에서 경제학과 사회학을 복수전공하며 데이터 분석과 사회 현상을 연결하는 연구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학부 과정에서 통계 분석과 계량경제학을 배우며,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회적 패턴과 행동을 분석하는 방법론을 익혔습니다. 이후 AI와 사회과학의 접점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며,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하여 경제 및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탐구하였습니다.

특히, 석사 과정에서 노동 시장에서 'AI 자동화가 일자리 창출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연구를 수행하였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대량의 경제 데이터를 처리하고 시계열 예측 모델을 활용하여 AI 도입이 특정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습니다. 연구 결과, AI가 일부 산업에서는 자동화를 통해 일자리 감소를 초래하지만, 다른 분야에서는 새로운 직업을 창출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또한, 'SNS 데이터를 활용한 사회적 트렌드 분석' 연구에서는 머신러닝 기반 감성 분석을 활용하여 대중의 정치적 성향 변화와 주요 사회적 이슈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습니다. 본 연구는 텍스트 데이터의 노이즈 처리, 감성 사전 구축, 시계열 데이터 분석 기법을 조합하여 정확도를 높이는 방법을 찾았습니다. 감정 사전을 직관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Interactive Visualization 방법론이 특히 높은 점수를 받아 S사 데이터 분석 공모전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하였으며, 이를 통해 데이터 기반 사회 연구의 실질적 응용 가능성을 더욱 확신할 수 있었습니다.

 

여기서 한 가지 팁은 우선 여러 가지 경험을 모두 나열해두고, 지원하는 연구실에 따라 그 경험들을 다르게 선택하고 다르게 서술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지원하는 연구실이 데이터 분석 분야에 초점을 두는 연구실인 경우, 그리고 지원하는 연구실이 AI 모델 개발 분야에 초점을 두는 연구실인 경우 똑같은 경험이라도 다르게 적는 게 나을 수 있습니다.

 

지원하시다보면 5개가 넘는 연구실에 지원하게 되실 수 있으니, SOP를 템플릿(Template)화하여 적당한 공통 포맷을 둔 후 연구실마다 다르게 채워넣는 게 훨씬 효율적입니다. 이와 관련해서 참고하실만한 좋은 한글 동영상이 있어서 첨부드립니다.

 

 

2. 왜 이 연구실에 지원하는가

"나는 어떤 사람인가"와 잘 이어지는 "해당 연구실 지원 동기"를 적어야합니다. 똑같은 글을 다른 연구실에 지원할 때 쓸 수 있다면 매력적인 글이 아닙니다. 그 연구실만 가지고 있는 무언가에 기반해서 스토리를 만들어나가야 합니다. 프로그램이든, 지도교수 관련 이야기를 적을 수도 있겠고 연구에 대한 이야기를 적는 게 가장 좋습니다.

 

따라서 해당 연구실이 어떤 문제/어떤 데이터/어떤 방법론을 다루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해당 연구실의 홈페이지를 살펴보고 최근 논문을 확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학교 도서관 등을 통해 논문을 볼 수 있다면 직접 읽어보면 좋고, 아니라면 google scholar을 통해 abstract 등 확인가능한 범위라도 확인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연구실 홈페이지에서 publications을 찾을 수 있습니다. https://www.ll.mit.edu/r-d/publications

 

마찬가지로 chatGPT와 함께 간단하게 정리해보았습니다. 

 

최근 몇 년간, AI와 자동화 기술이 급격히 발전하면서 노동 시장의 구조적 변화가 가속화되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변화가 정책적으로 어떻게 다뤄지고 있으며, 사회적 불평등을 심화시키거나 완화할 수 있는지는 여전히 중요한 연구 과제입니다. 저는 이러한 질문을 데이터 기반으로 탐구하고 해결하는 데 관심이 있으며, 이를 위해 UU 사회 데이터 연구실에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합니다.

특히, 연구실에서 진행한 "AI 자동화가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및 정책적 대응 분석" 연구는 저의 연구 관심사와 깊이 연결됩니다. 저는 석사 과정에서 SNS 데이터를 활용한 사회적 트렌드 분석 연구를 수행하며, 감성 사전 구축, 노이즈 처리 기법, 시계열 모델링을 탐구한 경험이 있습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연구실에서 진행 중인 공공정책 변화에 대한 대중 인식 분석 프로젝트에 기여하고 싶습니다.

또한, 연구실이 활용하는 텍스트 마이닝, 네트워크 분석, 강화 학습 기반 정책 모델링 등의 방법론은 제가 익숙한 분석 기법과 결합하여 연구의 깊이를 더할 수 있는 영역입니다. 저는 연구실에서 "AI 자동화의 노동시장 영향 분석과 SNS 데이터를 활용한 공공 의견 변화 연구"를 수행하며, 특히 시계열 분석과 네트워크 분석을 결합하여 정책 변화가 온라인 담론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연구를 진행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사회과학과 데이터 과학의 접점에서 의미 있는 연구를 이어가며, 연구실의 공동체 안에서 학문적 기여를 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3. 앞으로 어떤 연구를 할 것인가

내가 이 연구실에 들어가서 어떤 연구를 하고 싶은지 적는 부분입니다. "나는 어떤 사람인가"와 "왜 이 연구실에 지원하는가"에 어느 정도 스토리를 만들어두었으니 "앞으로 어떤 연구를 할 것인가"에도 일관성 있는 스토리를 갖도록 적으면 좋습니다. 연구실을 잘 조사했다면 연구실에서 관심을 가지고 있는 연구 분야를 파악하실 수 있으셨을테니, 잘 연결해주시면 됩니다. SOP를 쓰기 전에 연구실을 잘 조사해두는 것은 필수입니다.

 

관심 있는 분야에 대해 리뷰 페이퍼를 읽어두시면 연구 키워드를 찾고 SOP를 작성하시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리뷰 페이퍼에는 앞으로 해당 연구 분야의 발전 방향에 대해서도 언급하기 때문에, 그 중에 특히 관심이 생기는 분야를 더 깊게 알아보신다면 더 현실적고 탄탄한 연구 계획을 세울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ChatGPT와 함께 생성한 것이라 자세한 방법론이나 키워드는 무시하시고, 느낌만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최근 몇 년간 AI 및 자동화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며, 노동시장의 구조적 변화와 임금 불평등 문제가 심화되고 있습니다. 특히, 제조업 및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자동화 기술 도입이 특정 직업군의 수요를 감소시키는 반면, 새로운 직업을 창출하는 효과도 존재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변화 속에서 정부의 정책 개입(재교육 프로그램, 보조금 지원, 노동시장 규제 완화 등)이 노동시장 불평등을 완화하는 데 실질적으로 효과적인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합니다. 이에 따라, 저는 AI-driven 자동화가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적 대응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하고자 합니다.

그 중 하나로, 패널 데이터 분석(Panel Data Analysis)을 활용하여 AI 및 자동화 기술 도입이 산업별 고용 안정성과 노동시장 이동성(mobility)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것입니다. 이를 위해 OECD 노동시장 통계, World Economic Forum의 Future of Jobs 데이터, 미국 노동통계국(BLS) 및 Eurostat 데이터를 활용하여 산업별 자동화 도입률과 고용 변화 간의 관계를 평가할 예정입니다. 특히, 기존 연구에서는 자동화 기술이 개별 직업군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춰왔지만, 본 연구에서는 Network Modeling을 적용하여 노동시장 내 직업 간 이동성과 산업 구조의 변화까지 반영한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고자 합니다. 직업군 간 연결성과 자동화의 영향이 어떻게 확산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기존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노동시장 네트워크의 동적인 변화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것입니다. 연구실의 AA 교수님이 최근에 다루셨던 Dynamic Change 연구에 Network Modeling을 적용한다면 동적인 변화를 정량적으로 모델링한다는 점에서 더 매력적인 연구가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마치며

저는 대학원 입시의 전문가도 아니고, SOP 작성의 전문가도 아닙니다. 제가 여러 글을 참고하면서 느끼거나 배운 점을 간단히 정리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더 좋은 글들이 많으니 하나씩 읽어보시고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또한, 지원하려는 대학원에 들어가서 SOP에 들어가야 하는 내용이나 SOP 샘플을 확인하시는 것도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SOP는 전 세계 대학원이 어느정도 공통적인 결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널리 퍼져있는 미국 대학원 SOP를 참고하셔도 됩니다. 박사라면 박사 과정 SOP를, 석사라면 석사 과정 SOP를 살펴보시면 되고 분야(ex: 경영대학원, 예술, 사회과학, 공학 등)마다 약간씩 느낌이 다를 수 있으니 해당 분야에 맞는 SOP를 찾으시면 좋습니다. 석사의 경우 박사 과정보다 연구 경험이나 연구 계획의 구체성이 떨어져도 괜찮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참고할만하다고 생각되는 자료들을 업로드합니다. 

 

1. Structure is Magic (A Guide to the Graduate SOP)라는 책의 저자가 쓴 SOP 관련 가이드입니다.

 

https://writeivy.com/statement-of-purpose-for-phd-admission-a-universal-formula/

 

Statement of Purpose for PhD Admission (A Universal Formula)

Learn the formula! Here's how to precisely structure your statement of purpose for PhD applications, with a brilliant example essay.

writeivy.com

writeivy에서는 PhD SOP starter kit이나 sample SOP 등 여러 가지 자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2. Duke 대학교에서 제공하는 SOP 샘플입니다. 이런식으로 SOP 샘플을 제공하는 경우가 꽤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https://culturalanthropology.duke.edu/sample-1-statement-purpose

 

Two Sample Statements of Purpose

Sample 1:  Statement of Purpose Keywords: Transnationalism, Memory and Africa | Afro-Diaspora

culturalanthropology.duke.edu

 

 

 

3. SOP writer Online에서 제공하는 Medium 글입니다.

https://medium.com/@sopwriteronline/sop-for-phd-statement-of-purpose-for-phd-sample-a3c8fd1d96d8

 

SOP for PHD: Statement of Purpose for PHD Sample

Introduction:

medium.com